CS/알고리즘

너비 우선 탐색(Breadth-first search, BFS)

리져니 2021. 9. 15. 15:34

맹목적 탐색방법의 하나로 시작 정점을 방문한 후 시작 정점에 인접한 모든 정점들을 우선 방문하는 방법이다. 더

이상 방문하지 않은 정점이 없을 때까지 방문하지 않은 모든 정점들에 대해서도 너비 우선 검색을 적용한다.

큐 자료구조를 이용한다.

BFS 시각화

<동작 과정>

1. 탐색 시작 노드를 큐에 삽입하고 방문처리.

2. 큐에서 노드를 꺼낸 뒤에 해당 노드의 인접 노드 중에서 방문하지 않는 노드를 모두 큐에 삽입하고 방문처리.

3. 더 이상 2번의 과정을 수행할 수 없을 때까지 반복.

 

<예시 설명>

 

장단점

장점

  • 출발노드에서 목표노드까지의 최단 길이 경로를 보장한다.

단점

  • 경로가 매우 길 경우에는 탐색 가지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보다 많은 기억 공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.
  • 해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유한 그래프(finite graph)의 경우에는 모든 그래프를 탐색한 후에 실패로 끝난다.
  • 무한 그래프(infinite graph)의 경우에는 결코 해를 찾지도 못하고, 끝내지도 못한다.
728x90

'CS > 알고리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깊이 우선 탐색(depth-first search, DFS)  (0) 2021.09.15
이진 검색(binary search)  (0) 2021.09.10
삽입 정렬(insertion sort)  (0) 2021.09.09
선택 정렬(selection sort)  (0) 2021.09.08
버블 정렬 (bubble sort)  (0) 2021.07.05